간단 정리/Spring4 [Spring] 내가 보려고 만든 IoC와 DI 간단 정리 IoC와 DI는 스프링의 기본 중 기본이다. 사실상 스프링을 사용하는 이유가 IoC와 DI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...? 적어도 나는 그렇다 ㅋㅋ 이렇게 편리하게 자바를 쓸 줄이야 IoC (Inversion Of Controll, 제어의 역전) 내가 만든 오브젝트들을 내가 관리하는 게 아니라 스프링에서 관리한다. 예를 들어 Stringbuilder sb = new StringBuilder() 라는 코드를 통해 Stringbuilder 객체를 만들었다고 하자, 이걸 @Bean 등의 어노테이션 등으로 스프링 Bean에 등록하면, 이제 이 객체는 스프링에서 관리하게 된다! 그래서 sb를 내가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 닥칠 때마다, 나는 스프링에게 "sb 내놔!" 하고 요청할 수 있는 것... 그럼 스프링한테 어떻게.. 2024. 2. 21. [Spring] 내가 보려고 만든 URI와 URL, URN 간단 정리 URI랑 URL이 헷갈려서 찾아봤는데... URN이란 것도 있네?? 그래서 그냥 간단하게 정리했다. URI 그냥 시작은 무조건 URI에서 시작한다!! 특성 리소스를 인터넷에서 구하고자 하는데, 그럼 그 리소스의 주소를 알아야 겠지? 이렇게 인터넷에서 리소스의 주소를 나타내는 게 URI이고, 아래에 나오는 URL과 URN을 합친 것. URL "나 a라는 리소스를 인터넷에서 찾고 싶은데, 어떤 웹으로 가야 해?" 물어보면 "https://tistory.com/find으로 가!" 라고 답할 수 있겠지? 이렇게 리소스를 얻을 수 있는 특정 웹 주소를 나타내는 게 URL! URN URL에 리소스 를찾으러 갔는데, 무턱대고 찾을 수 없잖아?? 그래서 각 리소스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데, 그게 URN이다. 그런데 .. 2024. 2. 17. [Spring] 내가 보려고 만든 GET 요청과 POST 요청 정리 GET: 단순히 정보 요청. 요청 데이터를 그냥 사용할 수 있는 경우. POST: 정보를 서버에 넘겨 서버 측에서 그 정보를 처리할 때. 요청 데이터를 JSON으로 보내서 서버에서 사용하기 용이하게 Body로 만들어 보냄. 코드를 짜면서 GET이나 POST나 둘 다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넘겨서 로직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 같아서... 조금 찾아 봤다. GET은 그냥 서버에 정보 요청할 때 쓰고, POST는 클라이언트가 넘긴 정보를 서버에서 처리할 때 사용하는 듯? 2024. 2. 15. [Spring] 내가 보려고 만든 각종 어노테이션 간단 정리 @Component: Spring Container에 자동 등록. @Controller: Presentation 계층에서 Controller 명시. @Service: Business 계층에서 Service 명시. @Repository: Persistence(영속성) 계층에서 DTO 명시 ← DB와 가장 가까움. JpaRepository나 CRUDReposiroty를 상속받아서 쓰면 따로 메서드 구현 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도 있음. @Bean: 내가 직접 만든 클래스가 아니라, 외부 라이브러리에서 가져온 클래스를 new 하여 자동 등록. @Configuration: 설정 파일을 명시하여 Bean으로 등록 → 싱글톤을 유지해주므로 작성하는 게 좋음. @Required: 반드시 프로펄티즈 파일을 사용하여 값을.. 2024. 1. 9. 이전 1 다음 반응형